잠복기 |
|
임상증상 |
|
합병증 |
- 담관염, 담석 형성, 담관폐쇄, 간비종대, 간경변, 담관암
|
검진 대상 |
- 감염의심자, 환자와 함께 감염원동물(자연산 민물고기)을 생식한 사람 전체, 주민 등
|
검진 방법 |
- 대변검사(충란검사 원칙이나 필요시 혈액을 통한 기생충 항체 검진 실시)
|
검진 장소 |
- 보건지소, 구례읍은 보건의료원 감염병 관리팀에 직접 방문
|
검진 기관 |
|
감염 경로 |
- 제1중간숙주(쇠우렁이) → 민물고기(참붕어, 잉어, 돌고기, 눈치, 꺽지 등)→ 사람이 섭취
|
분포지역 |
- 섬진강, 영산강, 낙동강 유역에 특히 많이 분포
|
예방법 |
- 민물고기의 생식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임
- 칼과 도마, 행중 등 주방용품은 필히 끓는 물에 10초 이상 가열 후 사용
- 도마 사용 시 야채용, 육류용, 생선용으로 구분하여 사용
|
치료 |
- 간흡충 치료약품을 1일 3회 투여(양성자에 대해 보건의료원에서 무료 투약)
- 약제의 부작용으로 현기증,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식사를 많이 하고 약을 먹은 후에는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됨.
|